1. MVP 정의
- Minimum Viable Product 줄임말
- 신제품 개발에서 학습의 영향을 강조하는 lean 스타트업의 개념
- 최소한의 노력과 개발 공수로 완성할 수 있는 제품(=최소 기능 제품)
- 최소한의 기능을 통해 고객의 피드백을 얻어 시장 반응이 어떤지 조사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 개발에 적용하는 제품
2. 목적
- 최소한의 자원으로 제품을 제작하여 가설로 시험한다.
- 성장을 가속화한다.
- 낭비되는 개발 시간을 줄인다.
- 초기 고객들에게 가능한 한 빨리 그 제품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.
3. 고려사항
완벽함보다 속도 중시 | 완벽한 제품 개발보다는 빠르게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데 더 초점을 둔다. |
폭넓은 관심보다는 한 곳에 집중 | 특히 테스트 단계의 경우 적절한 특징(예를 들어 특정 기능)에 집중하고 그 특징의 성공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 |
폭포수 대신 민첩성 | 물론 제품 아이디어를 갖는 것은 언제나 권장할 만한 일이다. 그러나 그 다음 단계만 구체적으로 계획한다. |
기능 추가 집착이 아닌 실용성 | 핵심은 최대한 많은 기능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. |
비용 절감과 판매 | 제품의 성공을 측정하는 기준에는 판매량 외에 비용 절감도 있다. |
4.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의 MVP
- 낮은 수준의 MVP: 실제 완성된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상품/서비스의 주요 기능과 이에 대한 설명 작성된 수준
- 높은 수준의 MVP: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운영되는 수준
개발 수준 | MVP |
낮은 수준 | 말로 하는 설명, 동영상으로 만든 제품 설명서, 스토리보드, 고객 시나리오, 제품 기능 안내서 |
높은 수준 | 운영 가능한 수준의 웹 사이트 |
5. 예시
- 소비자가 '이동수단'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
- 이동에만 초점을 맞춰 바퀴로 이동하는 킥보드 형태로 구성 → 소비자가 '이동수단'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
- 시장 반응: 이동수단이 필요하고, 추가로 앉기를 원함 → 앉아서 가는 자전거 형태로 구성
- 시장 반응: 2번에서 추가로 빠른 속도를 원함 → 속도가 더 빠른 오토바이 형태로 구성
- 시장 반응: 3번에수 추가로 편한 좌석과 빠른 속도를 원함 → 편하고 속도가 빠른 자동차 형태로 구성
- 핵심: 주 기능인 '이동한다'는 목적은 충족해야 한다는 것
[참고 사이트]
https://www.itworld.co.kr/tags/52393/%EC%95%A0%EC%9E%90%EC%9D%BC/212179
728x90
반응형
LIST
'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치 마크(Coach Marks) (0) | 2023.06.28 |
---|---|
뎁스(Depth) (0) | 2023.06.27 |
툴팁(tooltip) (0) | 2023.06.23 |
딤, 딤처리(dim, dimmed) (0) | 2023.06.22 |
애자일 방법론(Agile) (0) | 2023.06.20 |
댓글